배민·쿠팡이츠·요기요 등 국내 3대 배달 플랫폼의 라이더 구조
📌 배민·쿠팡이츠·요기요 등 국내 3대 배달 플랫폼의 라이더 구조
2025년 현재, 배민·쿠팡이츠·요기요 등 국내 3대 배달 플랫폼의 라이더 구조는 어떻게 다를까요?
라이더의 수익 구조부터 겸업(병행 활동) 가능 여부, 정산 방식까지 한눈에 비교해봤습니다.

요즘은 ‘배달’이 단순한 부업이 아니라 하나의 직업이 되었습니다.
특히 배민, 쿠팡이츠, 요기요 등 세 가지 플랫폼은 전국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을 만큼 자리 잡았죠.
그런데 라이더 입장에서는 “어느 플랫폼이 가장 효율적일까?” “두 개를 동시에 할 수도 있을까?” 같은 궁금증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이 세 플랫폼의 라이더 수익 구조, 정산 방식, 병행 가능성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배민 라이더 구조 (배민커넥트·배민라이더스)
배달의민족은 우아한형제들이 운영하는 플랫폼으로,
‘배민커넥트(파트타임형)’과 ‘배민라이더스(풀타임형)’ 두 가지로 나뉩니다.
- 계약 형태: 개인사업자 또는 위촉계약형
- 배달 방식: 단건배달 중심(배민1, 배민1플러스)
- 배달비: 약 3,000~5,000원 + 거리·시간·피크 인센티브
- 정산 주기: 주 1회(매주 정산)
- 보험: ‘커넥트 안심보험’ 등 선택형 제공
- 특징: 자율 로그인제(원할 때 출근 가능), 인센티브제 운영
→ 병행 활동 가능 여부:
공식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는 않지만, 인센티브 등급제가 있기 때문에
배민 플랫폼에 집중할수록 더 높은 보상을 받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실제로는 겸업보다는 단일 플랫폼 집중형이 유리합니다.
2. 쿠팡이츠 배달파트너
쿠팡이 운영하는 쿠팡이츠서비스(주)는 실시간 자동배차 시스템으로 유명합니다.
라이더가 앱을 켜면 근처 주문이 자동으로 배정되는 구조죠.
- 계약 형태: 개인사업자형(프리랜서)
- 배달 방식: 단건배달 중심 (자동 배차)
- 배달비: 약 3,000~6,000원 + 거리·수요·시간대별 가산
- 정산 주기: 당일 또는 익일 정산 (속도가 가장 빠름)
- 보험: 제휴 상해보험 선택 가능
- 특징: 실시간 수요에 따라 요금이 유동적, 피크타임 보너스 多
→ 병행 활동 가능 여부:
역시 가능은 하지만 비권장.
특히 쿠팡이츠는 라이더 등급제(레벨 시스템)을 운영해
자사 배달 비율이 높을수록 인센티브를 더 주기 때문에
겸업 시 등급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3. 요기요 익스프레스
요기요는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가 운영하며,
기존 대행업체 중심에서 ‘요기요 익스프레스’로 직영형 모델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계약 형태: 개인사업자형
- 배달 방식: 단건+다건 혼합형 (일부 지역은 대행사 연계)
- 배달비: 약 3,000~5,000원 수준
- 정산 주기: 주 1~2회
- 보험: 일부 자동가입, 제휴보험 제공
- 특징: 대행사 네트워크가 많아 지역 밀착형 구조
→ 병행 활동 가능 여부:
대부분 가능하지만, 일부 대행사 지역은 계약상 겸업 제한이 있습니다.
대행형 구조 특성상, 회사마다 규정이 달라 꼭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4. 세 플랫폼 라이더 비교표
| 구분 | 배민커넥트 / 배민라이더스 | 쿠팡이츠 배달파트너 | 요기요 익스프레스 |
|---|---|---|---|
| 운영사 | 우아한형제들 | 쿠팡이츠서비스(주) |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 |
| 계약형태 | 개인사업자 / 위촉계약 | 개인사업자 | 개인사업자 |
| 배달방식 | 단건배달 (자율 수락형) | 단건배달 (자동 배차형) | 단·다건 혼합 (일부 대행) |
| 배달비 | 3,000~5,000원 + 인센티브 | 3,000~6,000원 + 가산요금 | 3,000~5,000원 |
| 정산주기 | 주 1회 | 당일/익일 정산 | 주 1~2회 |
| 보험 | 커넥트 안심보험 | 제휴 상해보험 | 일부 자동가입 |
| 근무방식 | 자유 로그인제 | 자유 로그인제 | 지역제한 있음 |
| 병행활동 | 가능하나 비권장 | 가능하나 비권장 | 일부 지역 불가 |
| 인센티브 | 등급별 보상제 | 레벨별 추가보상 | 지역별 차등 |
| 대표장점 | 안정성·브랜드 인지도 | 실시간 정산·피크보너스 | 지역 기반, 대행 유연성 |
| 대표단점 | 콜 경쟁·등급 불이익 | 수요 편차·경쟁심화 | 지역 제한·콜 불균형 |
5. 결론 — 겸업이 가능하지만, 효율은 따져봐야 합니다
세 플랫폼 모두 법적으로 겸업을 금지하지는 않지만,
인센티브 구조상 “한 플랫폼에 집중하는 편이 더 유리”합니다.
특히 단건배달 위주 구조에서는 동시에 두 앱을 운영하기도 현실적으로 어렵죠.
라이더 입장에서는 정산 속도·콜 안정성·지역 배차율을 기준으로
자신에게 맞는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현명합니다.
- 단기·피크타임 수익 극대화형 → 쿠팡이츠
- 안정형·지속형 → 배민커넥트
- 지역밀착·자율형 → 요기요(또는 대행 연계형)
🏁 마무리하며
배달 플랫폼 시장은 2025년에도 계속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수익률·인센티브·보험 혜택 등은 분기별로 바뀌는 만큼,
각 플랫폼의 ‘라이더센터 공지사항’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각 앱의 수익 구조와 정책 변화가 생기면
최신 정보 기준으로 업데이트해드릴게요 🚴♂️
배민 가게등록, 음식등록 방법 - 어떻게 하나요? 누가 어떻게 올리나요?
📌 배민 가게등록, 음식등록 방법 - 어떻게 하나요? 누가 어떻게 올리나요?배달의민족(배민)에 식당을 새로 등록할 때는 음식 사진, 메뉴, 설명 등을 누가 어떻게 올릴까요?가게 사장님이 직접
info.smartjj.co.kr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삼성 ACE로 부수입 만들기: 수익 구조부터 활용 전략까지 (0) | 2025.07.13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