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공공임대주택, 신혼부부 특별공급, 청년주택 신청 시 필요한 2024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기준표를 100%부터 200%까지 정리했습니다. 가구원 수별 기준과 적용 제도까지 한눈에 확인해 보세요.
공공임대주택, 청약 특별공급, 장기전세주택 등 다양한 주거복지 제도에서는 신청 자격을 판단할 때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의 몇 % 이하인지 기준을 적용합니다.
보통은 100% 또는 120% 이하를 기준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실제 제도에 따라 150%, 180%, 심지어 200%까지 인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표를 100%~200%까지 가구원 수별로 정리해 드리고, 각 기준이 어떤 제도에 적용되는지 예시도 함께 소개합니다.
2024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기준표
※ 금액은 세전 기준이며, 제도별 세부 심사 기준은 다를 수 있습니다.
가구원 | 100% | 110% | 120% |
1인 | 3,482,964원 | 3,831,260원 | 4,179,557원 |
2인 | 5,415,712원 | 5,957,283원 | 6,498,854원 |
3인 | 7,198,649원 | 7,918,514원 | 8,638,379원 |
4인 | 8,248,467원 | 9,073,314원 | 9,898,160원 |
5인 | 8,775,071원 | 9,652,578원 | 10,530,085원 |
가구원 | 130% | 140% | 150% |
1인 | 4,527,853원 | 4,876,149원 | 5,224,446원 |
2인 | 7,040,425원 | 7,581,997원 | 8,123,568원 |
3인 | 9,358,244원 | 10,078,109원 | 10,797,973원 |
4인 | 10,723,006원 | 11,647,853원 | 12,372,701원 |
5인 | 11,407,692원 | 12,285,399원 | 13,162,606원 |
가구원 | 160% | 170% | 180% |
1인 | 5,572,742원 | 5,921,038원 | 6,268,535원 |
2인 | 8,665,139원 | 9,206,710원 | 9,748,282원 |
3인 | 11,481,338원 | 12,182,903원 | 12,884,468원 |
4인 | 13,497,547원 | 14,422,394원 | 15,347,241원 |
5인 | 14,040,813원 | 14,918,520원 | 15,796,227원 |
가구원 | 190% | 200% |
1인 | 6,616,229원 | 6,965,928원 |
2인 | 10,289,853원 | 10,831,424원 |
3인 | 13,586,032원 | 14,387,298원 |
4인 | 16,272,088원 | 17,196,934원 |
5인 | 16,673,934원 | 17,550,142원 |
※ 출처: 2024년 기준 보건복지부 및 SH공사 공고 기준 재정리
어떤 제도에 어떻게 적용되나요?
1) 100% 기준
- 국민임대주택 (단일 가구)
- 일부 행복주택, 청년주택
- 장기전세주택Ⅰ
2) 120% 기준
- 미리내집(60㎡ 이하 단일 가구)
- 행복주택(신혼부부, 청년), 일반분양 특별공급
3) 150% 기준
- 미리내집(60㎡ 초과 단일 가구)
- 신혼희망타운, 중형 임대주택 일부
4) 180% 기준
- 미리내집(60㎡ 이하 맞벌이 가구)
5) 200% 기준
- 미리내집(60㎡ 초과 맞벌이 가구)
- 일부 공공분양 특별공급 (신혼부부, 생애최초)
소득기준 계산 시 유의사항
- 맞벌이일 경우 인정 소득 기준이 상향됩니다. (예: 120% → 180%)
- 전용면적 60㎡ 초과 여부에 따라 기준 퍼센트가 달라지므로, 반드시 내 지원 단지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 이 기준은 전년도 도시근로자 소득 기준이므로, 신청 시점과 다를 수 있어 매년 확인이 필요합니다.
마무리 문단
주거복지 제도는 많지만, 결국 자격 여부를 가르는 핵심은 ‘소득 기준’입니다.
신청 전에 내 가구의 구성과 소득이 어떤 퍼센트에 해당되는지 미리 확인해 두면 자격 검토와 서류 준비에 훨씬 여유가 생길 거예요.
📚 키워드 요약정리
2024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기준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르며, 제도에 따라 100%부터 200%까지 다양하게 적용됩니다. 미리내집, 행복주택, 국민임대, 신혼희망타운 등 주요 공공임대·청약제도에 소득 기준은 필수 조건이며, 단일 가구 vs 맞벌이, 전용면적 60㎡ 이하 vs 초과 여부에 따라 퍼센트 기준이 달라지므로 꼭 확인이 필요합니다.
----------------------------------------------------
"혹시 이런 정보 어떠세요?"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절세 핵심 전략 - 커피값도 필요경비? 장부기장 제대로 알아보기 (0) | 2025.04.18 |
---|---|
초보자도 쉽게 따라하는 SCHD ETF 투자 완벽 가이드 (0) | 2025.04.16 |
트럼프 관세에 한국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한국의 생존전략은? (0) | 2025.04.04 |
2025년 교사 봉급표 총정리 - 교육공무원 호봉별 월급, 수당, 인상률까지 (0) | 2025.03.27 |
실업급여 실수령액, 2025년 실제 지급액 & 대체 지원금까지 총정리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