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교육공무원 봉급표가 공개되었습니다. 호봉제 구조와 실수령액, 수당, 인상률까지 최신 정보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를 위한 실질적인 급여 정보가 모두 담겨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2025년에도 많은 예비 교사들과 현직 교사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정보 중 하나는 바로 ‘봉급’입니다. 올해 교육공무원 보수는 평균 3% 인상되었고, 초임 교사의 경우 실질 인상률이 5%를 넘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정확히 얼마를 받게 되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한 2025년 봉급표 전체 내용과 함께 호봉제의 원리, 실수령액 구성, 수당 종류, 경력별 월급 변화 등을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1. 봉급표 적용 대상
이번에 발표된 2025년 봉급표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등 교육공무원에게 적용됩니다. 즉, 대부분의 초·중등 교원이 해당되며, 임용고시 등을 통해 입직한 교사들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다만, 대학교 교수나 시간강사, 교육전문직(장학사, 장학관 등), 교감·교장 등은 별도의 보수 체계를 따릅니다.
이 글에서는 일반 교사(담임 또는 과목교사)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2. 교사 호봉은 어떻게 정해질까?
교육공무원의 봉급은 '호봉제'에 따라 결정됩니다. 호봉은 근무 연수, 학력, 경력, 자격 등을 반영해 정해지는 급여 단계입니다.
초임 호봉은 학력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력/출신 | 초임 호봉 |
사범대학 또는 교육대 졸업자 | 9호봉 |
일반대 졸업 + 교직이수 | 8호봉 |
전문대학(3년제) 졸업자 | 7호봉 |
- 이는 교육 과정의 차이와 교사 양성 전문성을 반영한 기준으로, 사범대·교대 출신에게는 ‘가산연수 1년’이 추가로 인정되어 기본 8호봉 + 1년 가산 = 9호봉으로 시작하게 됩니다.
- 또한, 이전에 사립학교, 군 복무, 교육기관 근무 등의 경력이 있다면 관련법에 따라 일부가 경력으로 인정되어 호봉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 반면, 정확한 경력이나 학력 증명이 어려운 경우에는 기본 호봉으로 시작하게 됩니다.
이처럼 교사의 초임 호봉은 단순 연차 외에도 출신 학력, 교육과정, 이전 경력에 따라 달라지는 구조이며, 호봉은 이후 매년 1호봉씩 자동 상승합니다.
3. 초임부터 30년 차까지, 교사 봉급표
그렇다면 초임 교사의 월급은 얼마일까요?
2025년 기준 1호봉 교사의 월 봉급은 1,915,100원입니다. 이는 기본급만을 의미하며, 다양한 수당이 더해져 실수령액은 약 240만~260만 원 수준입니다.
📌 경력에 따른 봉급 변화
- 10호봉(10년 차): 2,387,800원
- 20호봉(20년 차): 3,363,300원
- 30호봉(30년 차): 4,663,600원
호봉이 올라갈수록 급여 상승폭이 커지며, 장기근속에 유리한 구조입니다.
📌 2025년 교육공무원 봉급표 (유치원·초등·중등 교원 기준)
호봉 | 월 봉급(원) | 호봉 | 월 봉급(원) |
1 | 1,915,100 | 21 | 3,478,900 |
2 | 1,973,100 | 22 | 3,607,300 |
3 | 2,031,900 | 23 | 3,734,600 |
4 | 2,090,500 | 24 | 3,862,300 |
5 | 2,149,600 | 25 | 3,989,800 |
6 | 2,208,600 | 26 | 4,117,800 |
7 | 2,267,000 | 27 | 4,251,300 |
8 | 2,325,100 | 28 | 4,384,500 |
9 | 2,365,500 | 29 | 4,523,800 |
10 | 2,387,800 | 30 | 4,663,600 |
11 | 2,408,300 | 31 | 4,803,000 |
12 | 2,455,700 | 32 | 4,942,200 |
13 | 2,567,600 | 33 | 5,083,700 |
14 | 2,679,900 | 34 | 5,224,600 |
15 | 2,792,000 | 35 | 5,365,800 |
16 | 2,904,500 | 36 | 5,506,400 |
17 | 3,015,500 | 37 | 5,628,700 |
18 | 3,131,900 | 38 | 5,751,200 |
19 | 3,247,500 | 39 | 5,873,900 |
20 | 3,363,300 | 40 | 5,995,800 |
※ 출처: 인사혁신처 공무원 보수규정 [별표 1] (2025년 기준)
4. 일반직 공무원과 비교하면?
같은 9급 공무원이라도 교사 초임 봉급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이는 교직의 전문성과 교육업무의 특수성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월급 × 12개월로 연봉을 계산해 보면:
- 1호봉: 약 2,298만 원
- 10호봉: 약 2,865만 원
- 20호봉: 약 4,035만 원
- 30호봉: 약 5,596만 원
여기에 수당, 상여금, 명절휴가비 등을 포함하면 실제 연간 실수령액은 20~30%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일반직 공무원의 봉급 혹은 공무원과 대기업 직원의 연봉 비교가 궁금하시면 아래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2025년 봉급 인상, 얼마나 올랐을까?
2025년 교육공무원 봉급은 전년 대비 평균 3% 인상되었습니다. 특히 1~5호봉 구간은 약 5% 이상의 실질 인상이 적용되어 초임 교사의 체감 급여 상승이 더 큽니다.
또한 일부 특수직 수당도 인상되었으며, 사서교사수당과 전문상담교사수당은 각각 2만 원에서 3만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6. 수당과 승진에 따른 급여 변화
📌 교원 수당 종류 요약
수당명 | 지급 시기 | 특징 |
교직수당 | 매월 | 교사 전원에게 지급 |
정근수당 | 연 2회 | 근속 연수 따라 차등 |
가족수당 | 매월 | 부양 가족 수에 따라 |
명절휴가비 | 연 2회 | 설·추석 전 별도 지급 |
시간외근무수당 | 수시 | 방과후나 행사 참여 등 실근무 시간 기반 |
📌 직책 승진 시 급여 변화
교사의 커리어 경로는 일반 교사 → 부장교사 → 교감 → 교장 → 교육전문직(장학사 등)으로 이어지며, 승진할수록 직책수당이나 관리직수당이 추가되어 실수령액이 더 높아집니다.
마무리하며
2025년 교육공무원 봉급표는 단순한 월급표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교직이라는 직업이 가진 안정성과 전문성, 그리고 장기근속에 대한 보상 구조가 잘 드러나는 자료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임용을 준비 중인 예비 교사들에게는 실질적인 급여 수준과 구조를 이해하는 기준점이 되며, 현직 교사들에게는 자신의 경력과 미래를 다시 한번 점검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매년 갱신되는 봉급표는 인사혁신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올해도 변화된 기준과 수당 체계를 잘 이해하고 현명하게 계획을 세워보시기 바랍니다.
----------------------------------------------------
"혹시 이런 정보 어떠세요?"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급여 실수령액, 2025년 실제 지급액 & 대체 지원금까지 총정리 (0) | 2025.03.19 |
---|---|
블로그 키워드 어떻게 찾을까? 네이버 키워드 도구 활용법 총정리 (0) | 2025.03.06 |
DART 전자공시에서 배당금 정보 확인하는 법! 투자자 필수 가이드 (0) | 2025.02.28 |
2025 현대차 배당 기준일 확정! 배당락 & 지급일, 투자 전략 총정리 (0) | 2025.02.21 |
KB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방법 & 준비 서류 총정리 (0) | 2025.02.18 |